빠르게 나는 항공기와 느리게 나는 새가 부딪히는 조류충돌, 일명 '버드 스트라이크' <br /> <br />작은 새와의 충돌로 비행기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하는 건 바로 충격량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질량과 속도에 비례하는 물체의 운동량 변화가 고스란히 충격량으로 작용하게 되는데, 비행기 입장에서는 마치 새가 비행기와 같은 속도로 날아와 부딪히는 충격을 받게 되는 겁니다. <br /> <br />이착륙 평균 속도인 시속 280km로 비행 중인 기체에 1kg 정도의 새가 부딪히면 약 5톤의 충격이, 7kg 정도의 대형 철새와 부딪히면 15.6톤의 충격을 받게 됩니다. <br /> <br />게다가 비행기는 무게를 줄이려고 합성소재를 많이 사용해 기체 두께가 얇고 외부 충격에 취약합니다. <br /> <br />그렇다 보니 조류 충돌로 조종석 앞유리가 깨지거나 날개가 찢기는 건 물론 공기를 흡입하는 제트 엔진 특성상 새가 엔진 속으로 빨려 들어가면서 고장까지 유발합니다. <br /> <br />[장영근 /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공학부 교수 (비행기) 엔진 앞에는 이제 굉장히 흡입력이 세죠. 그러니까 새떼들이 보통 그 인근을 비행하면서 엔진 안으로 이제 빨려 들어가는 거죠. 들어가게 되면은 대부분 앞부분에 블레이드가 있어요. <br /> <br />그 블레이드에 심한 충격이 가서 블레이드를 손상을 입히거나 아니면은 얘가 이제 정지를 하게 만들죠.] <br /> <br />조류 충돌 사고 대부분은 이착륙 과정에서 일어납니다. <br /> <br />고도별 조류충돌 통계를 보면 공항과 가까운 고도 152m 이하에서의 조류충돌 가능성은 71%, 이착륙이 시도되는 고도 457m 미만은 83%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새는 습성상 자신의 경계 범위를 약 30m로 보고, 물체가 가까이 다가와야 도망치기 때문에 빠르게 다가오는 비행기를 미리 피하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, 비행기는 이착륙 시에 역풍을 이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착륙 고도에서 바람 방향에 따라 나는 새와 충돌 가능성이 커지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염건웅 / 유원대 경찰소방행정학부 교수 : 평소에도 항공기를 운항하는 민간공항이라든지 군 시설도 계속적으로 철새를 쫓기 위한 노력을 많이 해요. 실제로 허수아비를 세워놓기도 하고요. 공포탄을 쏴서 새를 놀라게 해서 도망가게 하는 것도 있고요.] <br /> <br />지난 상반기까지 국내에 보고된 조류 충돌, 버드 스트라이크는 모두 623건, <br /> <br />대형 참사를 불러올 수 있는 조류 충돌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퇴치 방법이 시도되고 있지만,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직 찾지 못한 상황입니다. <br />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41231075451795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